반응형 직업계고2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꼭 챙겨야 할 키워드(+ 감정을 이해해야 학습이 일어난다)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학생의 감정부터 챙기자 오늘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중요한 키워드인 학생의 감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학생(학습자)이 어렵거나 낯선 지문이나 글을 읽을 때 느끼는 감정을 생각해보고, 그 감정이 학습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보았으면 합니다. 끝으로 직업계고 학생들이 처음 자신이 선택한 전문교과(전공과목)에 관한 수업을 듣고, 학습을 할 때 대개 어떤 감정을 느낄 것인지에 대해서 생각해봅니다. 이를 통해서 직업계고 학생들 중 20~30% 정도 비율을 차지하는 기초학력부진 학생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학습에 감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종종 우리는 감정을 놓치고 마는데요. 학생을.. 교육 2022. 7. 26.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증진 방법(+진로교과와 융합한 국어수업의 필요성)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연구한 자료는 없습니다. 하지만 PISA2018 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PISA는 읽기 역량을 리터러시 수준의 척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ISA의 읽기 척도인 PISA 2018 읽기 성취수준별 과제 특성을 살펴보면 수준은 1a, 1b부터 6까지 총 7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PISA 2018 읽기 성취수준별 과제 특성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진로교과와 융합한 국어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1a와 1b에 해당하는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비.. 교육 2022. 5. 22. 이전 1 다음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