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란 무엇인가요?
PISA는 OECD에서 3년마다 전세계적으로 실시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입니다. PISA는 the OECD's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의 약자로서 흔히 PISA라고 합니다. PISA는 읽기, 수학, 과학 지식과 실생활의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15세 아이들이 사용하는 주요 역량을 측정합니다.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PISA는 전세계 만15세 학생들(대한민국은 주로 중3학생을 기준으로 합니다)의 읽기, 수학, 과학 리터러시를 3년마다 측정하는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입니다. 2000년에 처음 시행된 것으로 주요 연구 영역은 각 주기마다 읽기, 수학, 과학들을 순환합니다. PISA에는 협업 문제 해결과 같은 일반 또는 교차 커리큘럼 역량 측정도 포함되는데요. 설계상, PISA는 학생들이 의무교육이 끝나갈 무렵에 습득한 기능적 기술을 강조합니다. PISA는 선진국의 정부간 기구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의해 조정되고 NCES에 의해 미국에서 시행됩니다.
PISA는 OECD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이며, PISA 2021은 8번째 주기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PISA 2021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서 연기되었습니다. 이에 2022년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3년마다, PISA는 15세 아이들이 읽기, 수학, 과학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데요. 이 시험은 학생들이 읽기 전략, 수학 문제 해결, 과학 비판 읽기 같은 특정 기술, 교실 너머에서 중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방법을 포착하기 위해 고안되었습니다.
이 시험의 평가 결과는 보통 실시되고 나서 1년 후에 발표되며, OECD의 보고서와 참가국들의 국가 보고서를 통해 국제적으로 제시됩니다. PISA 평가 외에도, 학생들은 가정 배경, 언어 사용, 부모와 보호자에 대한 정보, 다른 과목에 대한 접근 방식 및 관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학생 설문지도 함께 실시합니다. 또한 일부 국가는 학생, 학부모, 보호자 및/또는 학급 교사에게 추가 설문지를 시행하기로 선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연구도 병행됩니다.
이를 통해서 이 평가에 참여한 다양한 국가들이 그들의 교육 정책과 결과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점에서 비교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동시에 학생들의 문제 해결과 인지 능력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대규모 학습 평가를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국가 정책과 증거 기반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추인됩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PISA를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의 주관하에 2000년부터 3년 주기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이하 PISA)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참여국의 교육 체제 와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공통의 평가틀을 바탕으로 의무 교육이 종료 되는 만 15세 학생들이 PISA 시행의 대상이 됩니다.
PISA는 읽기, 수학, 과학을 핵심 영역으로 하며 주기마다 혁신적 영역을 추가로 선정합니다. 또한, 핵심영역 중 한 영역을 해당 주기의 주 영역으로 선정하여 새로운 문항을 개발합니다. 2018년은 본검사가 치러진 해이지만, 본검사의 원활한 시행을 위해 2017년에는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주 영역인 읽기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성숙한 민주 시민이 갖추어야 할 디지털 읽기 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평가틀과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예비검사를 통해 검사 수행의 적절성 및 문항의 타당성 등을 검토하였습니다. -출처 :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PISA 2018 예비검사 읽기 영역
위 설명에서처럼 PISA2018은 먼저 2017년에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2018년에는 본검사가 치러졌습니다. 또한 PISA는 매주기마다 혁신적인 영역을 추가흔데요. 대표적으로 2018년에는 디지털리터러시 영역을 추가했습니다. 그리고 이 영역에서 대한민국 학생들이 전세계에서 꼴찌 수준의 역량을 보이면서 디지털리터러시가 매우 중요한 영역으로 급부상하게 되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간한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PISA 2018 예비검사 읽기 영역를 통해서 실제 PISA 2018에서는 어떠한 문항이 출제되었는지 분석하고 함께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민상담 : 7살 아이 한글을 몰라요(+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한글 몰라도 되나요?) (0) | 2022.07.04 |
---|---|
질문 탐구 쓰기 중심의 수업모델에 관한 짧은 이야기(+SOI : Statement Of Inquiry) (0) | 2022.05.31 |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증진 방법(+진로교과와 융합한 국어수업의 필요성) (0) | 2022.05.22 |
디지털리터러시와 비판적사고의 상관관계(+커뮤니케이션 핵심기술) (0) | 2022.04.30 |
디지털리터러시 적용을 위한 가이드(+학교에서 어떻게 디지털리터러시를 가르칠까?)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