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0 고민상담 : 7살 아이 한글을 몰라요(+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한글 몰라도 되나요?) 부모의 고민 : 7살 우리 아이. 아직 한글을 몰라요 최근에 지인으로부터 고민 상담을 받았습니다. 바로 자녀에 대한 고민이었는데요. 아직 한글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지인의 아이는 7살이었습니다. 내년에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데, 아직까지 한글을 모르니 걱정이 많았던 것이죠. 당장 내년에 초등학교 입학인데, 걱정이 많아요. 우리 아이가 한글을 전혀 모르는거에요. 또래 주변에 아이들을 보면 모두 한글을 읽는데, 우리 아이만 뒤늦은 것 같아서 정말 걱정이 많아요. 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아이는 남자 아이였는데요, 아무래도 한글을 전혀 모르다보니 부모로서는 걱정이 많이 들 수밖에 없던 것이죠. 이런 고민 상담을 들을 때, 저는 사실 답을 쉽게 줄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이와 가정마다.. 교육 2022. 7. 4. 질문 탐구 쓰기 중심의 수업모델에 관한 짧은 이야기(+SOI : Statement Of Inquiry) 최근 SOI, Statement Of Inquir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쓰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는 리터러시 역량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결국 읽기와 쓰기는 종이의 앞뒤면처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쓰기 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점차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질문 탐구 쓰기 중심의 수업모델인데요. 저도 평소 리터러시 역량 향상을 위해 관심이 있기에 바로 질문, 탐구, 쓰기의 유기적 연결관계를 고민하는 수업모델에 관심이 많습니다. 이 수업 모델은 사실 SOI, 즉 Statement Of Inquiry에서 모티브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그러면 먼저 SOI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살펴보겠습.. 교육 2022. 5. 31.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증진 방법(+진로교과와 융합한 국어수업의 필요성)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리터러시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연구한 자료는 없습니다. 하지만 PISA2018 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PISA는 읽기 역량을 리터러시 수준의 척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ISA의 읽기 척도인 PISA 2018 읽기 성취수준별 과제 특성을 살펴보면 수준은 1a, 1b부터 6까지 총 7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PISA 2018 읽기 성취수준별 과제 특성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진로교과와 융합한 국어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1a와 1b에 해당하는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직업계고 학생의 비.. 교육 2022. 5. 22.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란?(+the OECD's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국제학업성취도평가 PISA란 무엇인가요? PISA는 OECD에서 3년마다 전세계적으로 실시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입니다. PISA는 the OECD's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의 약자로서 흔히 PISA라고 합니다. PISA는 읽기, 수학, 과학 지식과 실생활의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15세 아이들이 사용하는 주요 역량을 측정합니다.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PISA는 전세계 만15세 학생들(대한민국은 주로 중3학생을 기준으로 합니다)의 읽기, 수학, 과학 리터러시를 3년마다 측정하는 국제 학생 평가 프로그램입니다. 2000년에 처음 시행된 .. 교육 2022. 5. 10. 디지털리터러시와 비판적사고의 상관관계(+커뮤니케이션 핵심기술) 디지털리터러시란?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기기, 인터넷 플랫폼, SNS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폰 모바일 장치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디지털 기술을 통해 다양한 자료와 정보(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를 파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하면 이러한 온라인 디지털 자료에 접근하여 다양한 집단과 사람과 함께 소통하고 공유하며 커뮤니케이션하는데 필요한 모든 개념적, 방법적, 정의적 지식을 뜻합니다. 점차 복잡 다단해지는 디지털사회에서 살아가면서 학습하고,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고, 일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보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지털리터러시와 비판적사고는 불가분의 관계다. 디지털리터러시는 비판적사고와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습니다. .. 교육 2022. 4. 30. 디지털리터러시 적용을 위한 가이드(+학교에서 어떻게 디지털리터러시를 가르칠까?)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란 무엇인가요?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최근에 많은 사람으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PISA 2018 결과로 인해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리터러시(Digital literacy)는 순간의 유행이나 교육자와 관리자를 위한 새로운 트렌드 그 이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교사에게는 교실에서 문식력이나 문해력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으로 익숙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리터러시는 지금의 학교 현장에서 다루고 있는 모든 교육공학적인 방법과 에듀테크를 포괄하는 모든 생각과 이념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지금 여기 교실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적 기술을 포함하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것입니다. .. 교육 2022. 4. 29. 이전 1 ··· 10 11 12 13 다음 추천 글 반응형